Ubuntu 18.04에서 네트워크 카드 추가 및 IP 설정하기
Ubuntu 18.04로 버전이 업데이트 되면서 네트워크 카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도 바뀌었다.
기존에는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서 설정을 하였지만, 18.04 버전 부터는 netplan을 통한 설정 방식으로 바뀌었다.
네트워크 카드 추가하기
VirutalBox의 경우 네트워크 카드 하나를 추가하고 다음에 연결됨을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설정한다.

추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가상머신을 재부팅 한 후, ifconfig -a 명령을 통해 추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enp0s3: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0.0.2.15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0.0.2.255
        inet6 fe80::a00:27ff:fe13:c615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08:00:27:13:c6:15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342  bytes 411198 (411.1 K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111  bytes 9792 (9.7 K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enp0s8: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56.100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56.255
        inet6 fe80::a00:27ff:fe9a:198e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08:00:27:9a:19:8e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136  bytes 11940 (11.9 K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394  bytes 39229 (39.2 K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lo: flags=73<UP,LOOPBACK,RUNNING>  mtu 65536
        inet 127.0.0.1  netmask 255.0.0.0
        inet6 ::1  prefixlen 128  scopeid 0x10<host>
        loop  txqueuelen 1000  (Local Loopback)
        RX packets 120  bytes 8836 (8.8 K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120  bytes 8836 (8.8 K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추가된 인터페이스 카드 명이 enp0s8 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정 IP 설정
Ubuntu 18.04 버전부터는 /etc/netplan/*.yaml 파일을 수정하여야 한다.
가상머신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하여 해당 파일을 vi 에디터로 편집한다.
sudo vi /etc/netplan/*.yaml
다음과 같이 ipconfig -a 명령으로 찾은 신규 네트워크 카드 명을 기재하고, IP를 설정해준다.
# This file is generated from information provided by
# the datasource.  Changes to it will not persist across an instance.
# To disable cloud-init's network configuration capabilities, write a file
# /etc/cloud/cloud.cfg.d/99-disable-network-config.cfg with the following:
# network: {config: disabled}
network:
    ethernets:
        enp0s3:
            addresses: []
            dhcp4: true
        enp0s8:
            addresses: [192.168.56.100/24]
            gateway4: 192.168.56.1
            nameservers:
                    addresses: [8.8.8.8,8.8.4.4]
            dhcp4: no
            dhcp6: no
    version: 2
설정 적용
변경한 설정을 적용하려면 다음 명령을 입력한다.
sudo netplan apply
Vue.js에서 Selectbox 컴포넌트 만들기
Vue.js에서 입력 폼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Selectbox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SelectBox.vue (이름은 자유롭게 정한다) 파일을 하나 만들고 template를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template>
    <select
          v-model="this.value"
          class="custom-select"
          v-bind:id="input_id"
          v-on:input="updateValue($event.target.value)"
    >
        <option v-for="(item, index) in items" :value="index">{{ item }}</option>
    </select>
</template>
Vue.js 2.2 버전부터 v-model을 사용하는 컴포넌트는 value props를 가진다. (참고: #) 따라서 별도로 v-bind로 props를 내려줄 필요 없이 하위 컴포넌트에서 this.value라고만 명시해주면 상위 컴포넌트의 value 값을 하위 컴포넌트 값으로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v-on:input="updateValue($event.target.value)" 부분은 사용자가 selectbox의 값을 변경할 경우 변경된 값을 상위 컴포넌트로 전송하기 위한 코드이다. 이 코드가 없으면 상위 컴포넌트에 사용자가 변경한 값이 반영되지 않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script는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script>
    export default {
        name: "SelectBox",
        data() {
            return {
                //
            };
        },
        props: ['value', 'items', 'input_id'],
        methods: {
            updateValue: function (value) {
                this.$emit('input', value);
            }
        }
    }
</script>
updateValue 메서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input 이벤트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컴포넌트를 가져다 쓰는 부분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
<SelectBox
       v-model="preselect_value"
       :items="somethings"
       :input_id="'my_selectbox'"
       @input="value => { preselect_value = value }"
></SelectBox>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