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근무했던 회사 중, 어떤 직장 선배는 한 직장에 오래 근속해야 진정한 프로이고 모범적인 직장인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 선배는 경험이 많았고, 그 선배만큼의 경험을 가진 직원들이 회사에는 드물었기 때문에 나를 포함 대부분의 동료들은 자연스럽게 그 선배의 말에 동조했다.
하지만, 몇 년 지나지 않아 회사는 수익이 나지 않아 문을 닫았고, 직원들은 뿔뿔히 흩어졌다,
그 당시 여러 회사의 면접을 보았는데, 면접관들은 나에게 대부분 아래와 같은 질문을 했다.
- '4년 넘게 회사를 다녔는데 어떤 일을 하셨나요?'
하지만, 나는 그 질문에 '제품의 화면 대시보드를 개발했습니다' 라는 답 이외에는 아무 것도 말 할수가 없었다.
그 회사에서 경험했던 것이라고는, 임금체불, 직장 내 부조리 등 부정적인 경험 뿐이었는데 좋은 인상을 줘야 할 면접관 앞에서 그런 이야기를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아마 당시 함께 근무했던 동료들도 이직할 때 비슷한 일을 겪었을 것이다. 오래 근무한 직원일수록 면접이 더욱 힘들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그 사건을 통해 얻었던 교훈은 아래 3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 버티는게 능사가 아니다.
- 나의 가치를 알아주는 사람과 일해야 한다.
- 회사는 나를 책임져주지 않는다.
그러나 배운게 도둑질이라고 사람의 습관이 어디가지 않는지 정작 다른 회사를 가서도 위 기준을 제대로 적용한 적은 없었다.
하지만 얼마 전 처음으로 위 기준을 제대로 적용한 결정을 내렸다. 1년간 재직했던 회사를 퇴사한 것으로.
만약 그 회사를 계속 다니고 있었더라면, 나는 어땠을까?
인간 개발자가 코딩하는 시대가 저물어가고 AI로 모든 것이 대체되고 있는 이 시대에, 이 흐름을 탈 수 있었을까?
결국 내 역할이 AI로 대체되고 나는 흐름에 뒤쳐진 채 다시 구직 시장에 나와야 했을 것이다.
AI 시대에는 단순히 '돌아가게끔 만드는 코딩'이나 유지보수 업무에 매몰된 개발자는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예전 회사에 계속 남아 있었다면 회사가 주는 일만 하며 스스로의 성장을 멈췄을 것이다.
과거에는 코딩하고 버그잡는 능력이 개발자의 특별한 능력이었다면, 지금은 더 이상 특별하지 않다. 이것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뒤쳐질 수 밖에 없다.
결국, 나의 경력은 회사가 부여한 직함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쌓아 올린 포트폴리오로 말해야 한다.
지금 다니는 회사가 나의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면,
그곳은 나를 위한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없는 곳이다.
Recent Comments